달력

4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ssh 로그인 할때 root 로 직접 로그인 하지 못하도록 막는 방법입니다.

#vi /etc/ssh/sshd_config

아래부분의 주석을 해제하고 no 로 수정

PermitRootLogin no

#/etc/rc.d/init.d/sshd restart  프로세스 재시작
:
Posted by 비개인오후
chmod 700으로 변경할 명령어
- /usr/bin/finger → 현재 접속자 현황을 보는 명령어 (계정명, 서버의 이용자 등 내부정보 유출 방지)
- /usr/bin/nslookup → 현재 네임서버의 상태를 보는 명령어(서버의 IP등 내부정보 유출 방지)
- /usr/bin/suidperl → perl 명령어(CGI를 이용한 불법적인 루트권한 획득 방지)
- /usr/bin/whereis → 파일 찾는 명령어(gcc, cc 등의 중요 파일 위치 보호)
- /usr/bin/cc → 컴파일 명령어(이용자가 해킹 프로그램 컴파일 방지)
- /usr/bin/pstree → 데몬상태 파악(서비스중인 포트정보 유출 방지)
- /usr/bin/rlog → 원격지 로긴(불법적인 원격지 해킹 방지)
- /usr/bin/rlogin → 원격지 로긴(불법적인 원격지 해킹 방지)
- /usr/bin/which → 파일 찾는 명령어(gcc,cc등의 중요 파일 위치 보호)
- /usr/bin/who → 현재 접속자 현황(계정명, 서버의 이용자등 내부정보 유출 방지)
- /usr/bin/w → 현재 접속자 현황(계정명, 서버의 이용자등 내부정보 유출 방지)
- /usr/bin/top → 시스템 정보 보기(시스템 사용 정보유출 방지)
- /usr/bin/find → 파일 찾는 명령어(gcc, cc등의 중요 파일 위치 보호)
- /bin/mail → mail 발송 명령어
- /bin/ps → 현재 사용중인 daemon 정보 확인 명령어
- /etc/hosts → 서버 설정 및 기타 연결 서버 리스트 확인
- /etc/hosts.deny → tcpwapper 제한 정보
- /etc/hosts.allow → tcpwapper 허용 정보
- /usr/bin/lynx → text 웹브라우저
- /usr/bin/wget → 외부 파일을 가져올 수 있는 명령어
- /usr/bin/gcc → 컴파일 명령어(이용자가 해킹 프로그램 컴파일 방지)
- /usr/bin/c++ → 컴파일 명령어(이용자가 해킹 프로그램 컴파일 방지)
- /usr/bin/make → 인스톨 명령어(이용자가 해킹 프로그램 컴파일 방지)
- /etc/exports → 외부 NFS 설정 정보
- /etc/fstab → 시스템 Partition 정보
- /usr/bin/chage → password expire 정보 변경
- /usr/bin/wall → 터미널에 붙어 있는 모든 사용장에게 message 전달
- /usr/bin/write → 다른 유저에게 message 전달
- /usr/bin/man → 해당 명령어에 대한 정보 전달
- /bin/mount → file system을 사용
- /bin/umonut → file system 사용 정지
- /sbin/netreport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변경 요청 알림
- /bin/df → 현재 mount된 partition 정보
- /bin/grep → pattern matching 정보 라인 print
- /bin/egrep → multi pattern matching 정보 라인 print
- /bin/ping → 해당 IP로 네트웍 ICMP 전송
- /bin/netstat → 현재 사용중인 Port, 연결된 모든 네트웍 정보
- /usr/bin/ftp → 해당 서버로 file 전송
- /usr/bin/ncftp → 해당 서버로 file 전송
- /usr/bin/rz → XMODEM, YMODEM, ZMODEM 파일 전송
- /usr/bin/sz → XMODEM, YMODEM, ZMODEM 파일 전송

파일에 대한 정보를 700 으로 변경 시 root만이 사용가능하며
이를 다른 User에게도 허용하고 싶을 때는 Group 권한을 사용한다.


# ls -al /bin/su
-rwsr-x--- 1 root client 74651 Apr 11 2006 /bin/su
Client 라는 Group 생성 후 해당 파일에 대한 Permission 을


# chmod 4750 /bin/su
Su 에 대한 파일 소유권을 조정


# chgrp client /bin/su
함으로써 해당 파일에 대한 권한을 root와 group client에 속한 user로 제한할 수 있다.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10. 2. 18. 13:25

저자거리 잔뼈굵은여자 이것저것모아두기2010. 2. 18. 13:25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10. 2. 16. 11:47

울컥 카테고리 없음2010. 2. 16. 11:47


ㅋㅋㅋ 돌아댕기다가 있길래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10. 1. 29. 14:39

참고용 링크 모아두기 이것저것모아두기2010. 1. 29. 14:39

http://navid.egloos.com/category/%EC%A2%8B%EC%9D%80%EA%B8%80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10. 1. 18. 16:26

타이머 프로그램 wTimer 컴터관련팁2010. 1. 18. 16:26


3분간격마다 체크해둬야 할게 있어서 간단한 타이머프로그램을 찾았는데 맘에 드는게 없었다.
우선은 알림이 있어야 하고 시작은 내가 지정해야 하고 반복되어야 할것!
플래시로 된게 있었는데 초기화때문에 할 때마다 다시 시간 지정하려니 짜증나고..



메시지 쓰고 시간이 되면 알려준다.

일반 타이머프로그램들과 차별되는,
 젤루 맘에 드는게 저 Repeat count .
[예]를 선택하면 계속 반복이 된다.



ㅋㅋㅋ 백업용으로 올려둔다.
:
Posted by 비개인오후




나와 함께 동행하는 동안
얼마큼의 시간이 지나갈는지 모르지만


기분 좋은 산책길이 되었으면 해요.
나 그대에게 작은 행복 드립니다.


나와 함께 걷는 세월이
언제나 하늘빛처럼 맑음으로 당신 가슴에


자라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나 그대에게 작은 행복 드립니다.


닿을 수 없는 곳에 그저
그리움 하나로 찾아가는 그 길이지만



언제나 웃을 수 있는 향기
그윽한 꽃길 밟아 가는
당신이면 좋겠습니다.



나 그대에게 작은 행복 드립니다.


먼 길 찾아오는 당신 곱게 단장하고
나 당신 환한 웃음으로 마중 나와


당신 기쁨에 벅차
따스함 담아 풀 수 있어서 행복한



그런 행복 드릴 수 있는 내가 되고 싶습니다.
언제나 그 자리에서 늘



:
Posted by 비개인오후
http://www.costco.co.kr/whs_852.htm

 
매장위치          
 
 
 
   
 주소 • 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동
  116-3번지
 영업시간

• 오전 10:00 - 오후 10:00
  월요일 - 일요일
• 휴무일 : 1/1, 설날, 추석
• 휴무전일 영업시간
  오전 10:00 - 오후 7:00

전화번호 • 042-539-1234
점포안내
• 1HP 사진현상/디지털현상
• ATM
• 푸드 코트
• 후레쉬 베이커리
• 후레쉬 델리
• 후레쉬 선어
• 후레쉬 정육
• 후레쉬 청과야채
• 후레쉬 스시
• 로티세리 치킨
• 특별 주문대 키오스크
• 타이어 센터
• 휠체어 이용가능
 개점일 • 1998년 5월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09. 12. 30. 12:05

바람난 남자, 바람난 여자 이것저것모아두기2009. 12. 30. 12:05

 

 
바람난 남자, 바람난 여자
 

 
"바람 난 남자"

바람, 눈구멍으로 들어온다

남자의 바람은 오감 중, 단연코 시각을 통해 불어온다.
섹시한 여자가 걸어가면 고개가 절로 돌아가는게 남자다.
물론, 여자도 멋진 남자에게 눈이 간다.
그러나 남자만큼 노골적이고 본능적이지는 않다.
뭐니뭐니해도 남자의 바람은 눈으로 들어온다.
예쁜 여자, 섹시한 자태, 유혹적인 몸짓.
 
징후는 목소리에서 시작된다.
여자가 점점 예뻐진다면 바람이 났다는 증거.
그렇다면 남자는 기분이 들떠 목소리까지 하늘을 날아간다면 뭔가 수상한 냄새가 나는 것.
남자의 바람은 외모가 아닌 마음에서 시작되기 때문.
기운이 넘치고 활기가 돌고 정력적이며 감정까지 풍부해졌다면 영락없다. 바람이다.  
 
컨디션 최고일 때 바람이 분다.
여자는 우울할 때 쉽게 남자에게 빠지지만, 남자는 잘나갈 때 바람이 난다.
일이 안 될 때, 세상 사는 데 자신이 없을 때,
혼자라고 느껴질 때 남자는 여자를 만나고 싶어하지 않는다.
‘내 코가 석 자인데, 여자는 무슨…’ 하는 반면,
돈을 잘 벌 때, 능력이 최고일 때는 상대하고 싶은 여자가 점점 늘어난다.

속옷을 갈아입는다.
여자와 섹스하기 위해 속옷 쇼핑에 돈과 시간을 투자하는 남자는 흔치 않다.
웬만한 메트로 섹슈얼이 아니라면 대부분 자신이 지금
바지 안에 무엇을 입었는지 기억조차 하지 못한다.
그러나 섹스하는 남자는 속옷을 자주 갈아입는다.
그러니 평상시보다 속옷을 자주 갈아입는다면 바람났을 확률이 높다.

인생에 마지막 바람이란 없다.
요즘 세상에 어디 남자만 그럴까.
그러나 그렇다. 아직도 이 점에서 남녀평등(?)은 멀었다.
심정적으로 여자는 결혼 전에 마지막 바람의 불꽃이 타오르고,
남자는 심정적으로 결혼 후에도 바람의 불꽃이 시시때때 타오른다.
물론, 실천에도 옮긴다. 파탄의 부담감도 없이!

발각됐을 때 바람녀를 정리한다.
말 그대로 남자의 바람은 바람일 확률이 높다.
그렇기 때문에 바람녀를 정리하는 게 남자들 바람의 정석이다.
당신이 혹,
그 남자의 바람녀라면 당신을 선택하리라는 기대감은 20% 이상 갖지 마라.
사랑에 대한 기대가 클수록 상처만 깊다지 않던가.

바람을 과시하고 싶어한다.
남자에게서 바람은 일종의 능력이다.
사랑 없는 섹스가 가능한 것처럼 사랑 없는 바람 역시 가능하다.
우두머리 수컷 원숭이가 많은 암컷 원숭이를 거느리듯
능력 있는 남자만이 많은 여자를 거느릴 수 있다고 아직도 믿고 있다.
고로, 그런 능력을친구들에게 자랑하고 싶어 안달이다.

바람나니, 더 잘해준다.
권태기도 지나간 무료한 연애기에 뜬금없이
연애 초기로 돌아간 듯 살갑게 군다. 볼 것도 없다.
바람이다. 자주 전화를 걸어주고, 이유 없는 선물을 하고,
애교를 부린다면 자신의 바람에 대한 죄책감이 작용한 것이다.
세상에 이유 없는 선물이 어디 있더냐. 사랑도 마찬가지다.  




"바람 난 여자"

어디에서 불어오느뇨..
여자의 바람은 남자의 바람보다 풍향이 복잡하다. 일단, 남자는 단순하다.
시각적 자극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여자는 시각만큼 청각에도 약하다.
목소리 좋은 남자에게 넘어간 여자는 많지만, 그 반대는 거의 들어보지 못했다.
눈구멍, 귓구멍. 여자의 바람은 어느 구멍으로 불어올지 알 수 없다.

징후는 외모에서 시작된다.
단연코, 예뻐지는게 여자 바람의 시작이다. 연애 기간이 길어지면서
부쩍 느슨해진 여자의 외모가 다시 한번 팽팽하게 당겨졌다면 의심해봐야 한다.
헤어 스타일이 바뀌고, 패션이 세련돼지고, 구두 굽 높이가 달라진다.
어딘가에서 다른 남자를 만나고 있다는 증거일 수 있다.

우울할 때 바람이 분다.
남자는 활력에 넘칠 때 본능에 충실해져 바람이 나지만,
여자는 우울할 때 누군가에게 기대고 싶은 마음에 바람이 난다.
이럴 때는 말솜씨 좋은 남자에게 넘어갈 확률이 높다.
이해한다는 듯, 몇 마디만 토닥여주면 바로 넘어오는 게 이 타이밍이다.

속옷을 산다.
‘브리짓 존스의 실수(첫 섹스 때 체형 보정 거들을 입은)’를 하지 않기 위해
꼭 준비해야 할 것이 섹쉬~한 속옷. 겉옷만큼 숨가쁘게 쇼핑 목록을 채운다.
갖가지 브래지어와 팬티 세트, 캐미솔, 슬립 드레스.
남자는 옷을 벗는 순간에도 여자 몸밖에 보지 않지만,
여자는 옷을 벗는 순간에도 자신의 몸이 어떻게 보여질지부터 생각한다.

결혼 전, 인생의 마지막 바람이 분다.
결혼 날짜가 잡히면 갑자기 불안해지기 시작한다.
이 남자가 아니면 어쩔 것인가.
무슨 근거로 내 인생 마지막 남자가 되어도 좋다고 결정했는가.
이 남자라고 결정하기 직전,
혹은 결정한 직후, 여자들은 종종 바람이라는 일탈을 감행한다.
왜? 결혼과 함께 바람도 끝이라고 생각하니까. 남자와는 달리!

발각됐을 때 바람남에게 간다.
여자의 바람은 감정의 정도가 깊다.
그래서 남자의 바람보다 더 위험할 수 있다.
좀더 비장한 분위기가 풍기는 것이 여자의 바람이다.
바람난 남자는 본처에게 돌아올 확률이 높지만,
바람난 여자는 남자와 도망갈 확률이 높다.

바람은 절대 비밀이다.
여자는 절대 바람을 과시하지 않는다.
자신의 연애사를 술김에 객기로 발설하지 않는다.
마음 먹은 선수만이 자신의 바람을 화젯거리로 삼는다.
남자의 바람과는 달리, 여자의 바람은 은밀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남자의 바람보다 소문이 안 날 뿐 그 수는 비슷하다.

바람나니, 서서히 멀어진다.
여자는 좀더 감정적이다. 한마디로 바람에서 남자만큼 쿨하지 못하다.
어느덧 감정의 덫에 걸려 허우적거린다.
쿨하게 바람을 바람으로 대하지 못한다고 할까?!
바람이 난 여자는 본래의 남자친구에게 예전처럼 다정하게 대하지 못한다.
이것이 여자의 아킬레스건이다. 바람을 바람으로 즐기지 못한다는 것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09. 12. 23. 17:35

SUV 중고를 알아볼까 생각중 분류귀찮아~2009. 12. 23. 17:35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직 한참 남았지만 연비는 쏘렌토R이 좋댄다.

출처 : http://hakte.egloos.com/1930265
아놔... 퍼가기 금지해두셨드만 ㅈㅅ

국내에서 가장 연비가 좋은 차(SUV/RV)

 
아래의 등수는 연비넷의 자료를 토대로 한 것으로, 모델 중에서 가장 연비가 앞선 모델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혹 연도가 다르더라도 모델별로 다른 것이니 태클은;;;
 

1위 : 뉴스포티지(수동15.2km, 자동13.1km)
- 배기량 1,991cc
- 공차중량 수동 :1,595㎏   자동:1,615㎏
- 연료형태 -
- 최대출력 151hp/3,800rpm
- 변속기 -  / -

2위 : 2006년 현대 투싼(수동 15.2km, 자동 13.1km)
- 배기량 1991cc
- 공차중량 수동 :1615㎏   자동:1635㎏
- 연료형태 디젤
- 최대출력 151hp/3,800rpm
- 변속기 수동 6단  / 자동 4단

3위 : 2007 기아 뉴카렌스(수동 15.1km, 자동 15.1km)
- 배기량 1,991cc
- 공차중량 수동 :1,619㎏   자동:1,619㎏
- 연료형태 디젤
- 최대출력 146 hp/4,000 rpm
- 변속기 -  / -

4위 : 2008년 QM5(수동 14.8km, 자동 12.8km)
 - 배기량 1995cc
- 공차중량 수동 :1675㎏   자동:1706㎏
- 연료형태 디젤
- 최대출력 150 hp/4,000 rpm
- 변속기 수동 6단  / 자동 6단  

5위 : 2003년 현대 싼타페(수동 14.4km, 자동 12.0km)
- 배기량 1991cc
- 공차중량 수동 :1675㎏   자동:1715㎏
- 연료형태 디젤
- 최대출력 126 hp/4,000 rpm
- 변속기 -  / -

6위 : 2007년 현대 싼타페 신형(수동 14.4km   자동12.5km)
- 배기량 2188cc
- 공차중량 수동 :1817㎏   자동:1847㎏
- 연료형태 디젤
- 최대출력 172 hp/3,800 rpm
- 변속기 수동 5단  / 자동 5단

7위 : 2009년 대우 윈스톰(수동 14.0km, 자동 11.7km)
- 배기량 1991cc
- 공차중량 수동 :1760㎏   자동:1760㎏
- 연료형태 디젤
- 최대출력 150 hp/4,000 rpm
- 변속기 수동 5단  / 자동 5단

8위 : 2007년 쌍용 액티언(수동 12.9km, 자동 11.9km)
- 배기량 1,998cc
- 공차중량 수동 :1,795㎏   자동:1,820㎏
- 연료형태 디젤
- 최대출력 142hp/4,000rpm
- 변속기 수동 5단  / 자동 6단

9위 : 2008년 쌍용 뉴카이런(수동 12.9km, 자동 11.2km)
 - 배기량 1,998cc
- 공차중량 수동 :1,860㎏   자동:1,900㎏
- 연료형태 디젤
- 변속기 수동 5단  / 자동 5단

10위 : 2004년 대우 레조(수동 12.6km, 자동 9.9km)
 - 배기량 1998cc
- 공차중량 수동 :1350㎏   자동:1385㎏
- 연료형태 가솔린
- 최대출력 128 hp/5,200 rpm
- 변속기 수동 5단  / 자동 4단

:
Posted by 비개인오후
트루디 차콘(미쉘 로드리게즈) 눈화를 죽인다 -_-;;
영화에서 유일하게 글래머 눈화였는데.. /엉엉/
그래서 10점만점에 9점! ㅋㅋ

시고니위버 아지매 샘플채취해야 한다던 장면에서는 피식~
:
Posted by 비개인오후
1. 자신의 문제를 모른다

여자에게 인기가 없는 까닭을 모른다. 이거 중증이다.
먼저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해야 한다.
문제는 재미가 없고 말수가 적으며 시선을 피하고 눈빛 처리가 안되는 경우가 많다.

2. 소심한게 문제

갑자기 나타나 나랑 사귀어줘요 하는 여자는 없다. 여자는 더 소심하다.
용기있는자가 과연 미녀를 얻을지는 미지수지만, 소심한 자에게는 여자따위는 결코 없다.

3. 말을 못한다.

말 못하는 남자는 외모가 장동건과 원빈을 때려눕히고 춤과 노래가 비를 밟아버릴 정도가 된다면 모르되 그렇지 않으면 절대 선택받을 수 없다.
언변을 익히라.
방법론은 여러가지, 젤 쉬운건 말발이 좋은 친구 (여자들에게 인기 좋은 친구다. 욕 잘하고 여자들에게 욕먹는 친구에게 배우지 마라.)를 선택해 자주 다니며 어떤 식으로 말하는지 배우는거다.
중요한건 흥미유발, 재미난 대화를 이끌어 가는 것이다.
절대 욕은 하지 마라. 건전한 여자들은 욕하는 남자 경멸한다.

4. 눈을 봐라

시선을 피하는 남자는 관심이 없어 그런거라 생각한다. 눈을 봐라.
여자의 눈을 보고 표정을 읽어라. 여자의 마음을 알지 못하면 얻는 것도 없다.
상대의 눈을 보고 그 속에서 상대의 마음을 읽어라.
가슴좀 그만 쳐다봐라. 가슴만 쳐다보면 여자 당황한다.

5. 여자친구 생기면 잘해주겠다

잘해줄 필요 없다. 그냥 남들만큼만 해라.
여자친구만 생겨봐라 라고 벼르고 있는 인간은 잘 모르겠지만 눈에서 살기가
뿜어져 나온다. 여자들 무서워서 도망간다.
잡히면 큰일날거 같다는 위기의식을 갖게 한다.

6. 여자라는 마음을 비워라

초보들은 여기서 결정적으로 서투르다. 말을 잘하고 눈을 보고 자신감 가지는 건 좋은데 음흉한 마음을 품는게 눈으로 드러난다.
마치 양을 노리는 늑대의 눈빛같은 그런 강렬한 눈빛이 살기로 뻗어나온다.
여자다 라는 마음을 비우고 여유롭게 상대방과 교감하라.
그러면 서로의 거리가 가까와진다.

7. 이것이 핵심 키포인트다

남자가 되라. 아무리 여자랑 친해져도 친구로서의 벽을 넘지 못하는 인간들이 있다. 그런 이들은 다른 이유가 아닌 남자로서가 아닌 중성적 존재로서의 노력을 했기 때문이다.
어느 순간인가는 자신의 남성적 섹스어필을 아낌없이 뿜어내라.
이것이 남자다!라는 것에는 여러가지 의견이 있지만, 적절한 상황에서의 결단력, 리드나 스킨십도 그 중 하나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타이밍이다. 타이밍에 따라 당락을 결정하는 핵심이 되기 때문이다.
타이밍을 알려면 일단 경험, 둘째로 상대에 대한 파악이다. (치한이 되지는 마라. 상대가 원할때 필요로 할때가 중요하다.)

8. 필요이상으로 친절하지 마라

친절해야 할 사람은 하나뿐이다. 아무에게나 친절을 베풀면 잠시의 호감도는 높아질 지언정, 정작 호감을 갖고 있는 사람의 마음은 잃을 수도 있다.
연애는 1:1 승부다. (문어발이더라도) 이사람 저사람 다 집적거리고 다니는 사람은 애인 만들기 정말 어렵다.

9. 너무 진지하지 마라

처음 사귀려는 사람은 너무 진지해서 탈이다.
가볍게 만나고 가볍게 다가서고, 상대가 물러나면 기다려 주고 다가오면 조금 다가서고 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도망가는데 쫓아가면 스토커 된다.
어깨에 힘을 빼고 적당히 가볍게 만나라. 어느 순간이 되면 진지해져야 할 순간이 온다.
그 때가 될때까지는 진지함을 아껴라.

10. 남자와 여자의 차이를 인지하라

첫 만남을 소중히 하고 싶다면, 많이 공부하라.
사랑이란 무엇인지, 남녀사이의 갈등은 어떤지. 화성, 금성에서 보이는 남녀간의 입장차이는 어떤지..
보통은 그 책은 헤어진 뒤에 읽고 공감을 하는 경향이 있지만, 알아둬서 나쁠 건 없다.
남자 대하듯 여자를 대하면 상호간에 곤란을 겪을 수 있다.



오늘도 이론만 늘어간다고 생각하지마시고

실천하세요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09. 12. 18. 09:51

아이리스... 오호~ 그럴듯한데... 카테고리 없음2009. 12. 18. 09:51

:
Posted by 비개인오후


비내리는 호남선 남행열차에 흔들리는 차창 너머로
진공관- 일세대 자기드럼에 프로그램 내장 바앙식

빗물이 흐르고 내 눈물도 흐르고 잃어버린 첫 사랑도 흐르네
일세대 흐르고 트 랜스터 이세대 자기코어 자 기테잎 보조기

깜빡 깜빡이는 희미한 기억속에 그때만난 그사람 말이없던 그사람
앗시 집적회로 삼세대 반도체에 운영체제 드응장 유틸리티 개--발


자꾸만 멀어지는데 만날 순 없어도 잊지는 말아요
사세대 엘에스아이 연사 안 장치도 고집적 사아용


당신을 사랑했어요
오세대 초고밀도요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09. 12. 17. 14:34

투명한 iframe 만들기 HTML자스2009. 12. 17. 14:34

iFrame을 사용해 웹 페이지 중간에 다른 페이지의 내용을 넣을 경우가 있다.
하지만 웹 페이지의 백그라운드 부분에 다른 이미지가 있는 상태에서 iFrame을 넣을 경우 백 그리운드 이미지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 투명한 iFrame을 사용하면 된다.

<iFrame src="웹페이지 주소" allowTransparency="true" width="가로크기" height="세로크기>

iFrame을 삽입할 페이지에 위와 같이 주고

<body style="background:transparent">

iFrame에 삽입될 패이지의 body 부분의 스타일을 위와 같이 주면 된다.

또한 iFrame을 투명하게만 주는것이 아니라 반투명 효과를 줄수고 있는데 이는 iFrame의 style을 적용해 주면 된다.

<iFrame src="" style="filter:Alpha( Opacity=65 );">

위와 같이 Alpha값의 Opacity값을 변경해 주면 도니다. Opacity값이 낮을수록 투명도가 증가한다.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09. 12. 16. 14:58

데뷔 후 첫 공식 노출한(?) 탱구누나 분류귀찮아~2009. 12. 16. 14:58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09. 12. 11. 17:30

가끔 드는 생각 분류귀찮아~2009. 12. 11. 17:30

rss피드관련 쌈질 난거 구경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오픈된 인터넷 공간에 오픈된 서비스를 하면서 링크에 대해 너무 야박하다는 생각이 들어...
숨겨놓으면 될 걸 가지고..

뭐 인지도의 차이도 있겠지.. 네이뇬이 긁어가면 좋은거고 듣보잡이 긁어가면 핵힝?

아! 물론 크롤러들 중에 심각한 놈들이 많기는 해...
robots.txt 개무시하는 놈들..
메일주소 긁어가는 놈들..

근데 그런놈들 보면 꼭 지네꺼는 못가져가게 하드라...



돌아댕기다가 발견한 서유정눈화



:
Posted by 비개인오후

9월 초에 저희집 인터폰 누르는 버튼 근처에서 아주 작은 표식을 발견했습니다,

 

숫자 1,2 였고 작은 체크 표시와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여겼습니다.

 

그런데 오늘

 

집을 나서다 우연히 인터폰 주변에서 발견한 아주 작은 표시, 알파와 베타 (α,β) 가 눈에 띄였습니다.

 

오피스텔의 다른 층을 돌면서 확인해 보니 많은 집들이 이 표식을 달고 있었습니다.

 

경비아저씨가 여러명 있고, CCTV가 있어 안심했는데';;너무나 놀랐습니다 ;

 

게다가 전부터 흉흉한 소식을 들었던 지라,

 

특히 맨날 뉴스에 나오는 강남, 서초 일대 유흥지대가 한블럭 거리인지라;;;

 

지구대에 문의를 했습니다.

 

처음에는 별것 아닐거라, 그냥 택배 아저씨의 표시일거라 생각했는데,,

 

경찰 지구대에선 생각보다 심각하게 받아들였습니다 ;;

 

어쩌면 성별 표시 일 수도 있다, 도둑의 표식 일 수 도 있다, 요즘 도둑이나 강간범이 갈수록 대담하고 지능화 되어 있다, 등등;;

 

사실 너무나 사소한 일이라 문전 박대 당할까봐 걱정했는데 ;

 

지구대측에서 생각보다 진지하게 받아들이셔서

 

저도 깜놀 했습니다 ;;

 

혹시나 해서 파일 첨부 합니다 .표식이 작고, 잘 보이지 않아 눈에 띄지 않으니,

 

 혹 혼자 사시는 집사님들은 문밖을 자세히 보시길 바랍니다.;

 

 

집사가 오피스텔을 돌면서 확인해 본 결과; 아마 알파= 남자  베타= 여자  엑스표 = 혼자 있는것 목격 횟수   로 추정 됩니다.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09. 12. 11. 15:48

우리 탱구누나 나오길래 이것저것모아두기2009. 12. 11. 15:48


ㅋㅋㅋ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09. 12. 10. 23:51

IRIS 결말 (스포일러) 이것저것모아두기2009. 12. 10. 23:51




어느날 제자가 잠에서 깨어 너무나도 서글프게 울고 있자 스승이 묻습니다.

 

"악몽을 꾸었느냐??" 그러자 아니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여러가지를 물어 보았지만 제자는 아니라며 말했습니다.

 

"아닙니다. 달콤한 꿈을 꾸었습니다."

 

그러자 스승이 묻습니다.

 

"달콤한 꿈을 꾸었다며 왜 울고 있느냐?"

 

그러자 제자가 말합니다.

 

"그건 이루어 질수 없기 때문입니다."


:
Posted by 비개인오후

~/.vimrc 파일을 만든다.

자신의 홈디렉토리에 .vimrc

]vi .vimrc

 

set fileencodings=utf-8,euc-kr


한 줄 추가해준 후 wq


다방24는 utf-8용으로 아파치를 설정해놔서리.....



그리고.....

터미널 프로그램에서 굳이 utf-8로 지정할 필요없을듯.

PuTTY의 경우 서버의 환경(/etc/sysconfig/i18n)이

LANG="ko_KR.eucKR"

SUPPORTED="en_US.UTF-8:en_US:en:ko_KR.eucKR:ko_KR:ko"
SYSFONT="latarcyrheb-sun16"

요렇게 되어 있으면 한글이 왕창 깨져버린다.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09. 12. 10. 18:26

CentOS에서 한글 리눅스서버/다방24가상호스팅2009. 12. 10. 18:26

CentOS 설치 후 Language를 한글로 설정하면 깨어진다.
아래와 같이 변경 후 로그아웃 후 다시 로그인하면 된다.

]# yum -y install kde-i18n-Korean fonts-korean

]# vi /etc/sysconfig/i18n
 LANG="ko_KR.eucKR"
SUPPORTED="en_US.UTF-8;en_US;en;ko_KR;eucKR;ko"
SYSFONT="lat0-sun 16"

]# source /etc/sysconfig/i18n

[출처] CentOS5.3 - 한글|작성자 억수로

:
Posted by 비개인오후
다방24 가상호스팅 RPM으로 설치해놓은거 보면 시작에서 아파치, MySQL, FTP가 빠져있다.
/etc/rc.d/rc.local 파일에 추가해줘도 되는데 귀찮아서리...

/etc/rc.d 디렉토리에 보면 rc3.d라는 디렉토리가 있다.
런레벨에 따라서
 /etc/rc.d/init.d 에 있는 스크립트를 실행할지 말지 지정해주는거다.
고로 각 런레벨별 디렉토리안의 파일들은 심볼릭링크로 되어 있다.

    - 런레벨 1 : 싱글모드 부팅. MS윈도우즈의 안전모드와 비슷

    - 런레벨 3 : 콘솔모드로 부팅(대부분 요거겠지)

    - 런레벨 5 : X 윈도우로 부팅

    - 런레벨 6 : 계속 재부팅만 한다.


런레벨 수정

    - /etc/inittab 파일에서 다음 항목의 숫자를 직접 수정함으로 변경 가능

      id:3:initdefault:




[root@비개인오후 rc3.d]# ls
K02NetworkManager            K35dovecot     K85mdmpd            S08ip6tables       S22messagebus  S90xfs
K02NetworkManagerDispatcher  K35smb         K87multipathd       S08iptables        S25bluetooth   S95anacron
K02avahi-dnsconfd            K35vncserver   K87named            S10network         S25netfs       S95atd
K02dhcdbd                    K35winbind     K88wpa_supplicant   S11auditd          S25pcscd       S97yum-updatesd
K02oddjobd                   K36mysqld      K89dund             S12restorecond     S26hidd        S98avahi-daemon
K05conman                    K50netconsole  K89netplugd         S12syslog          S26lm_sensors  S98haldaemon
K05saslauthd                 K50snmpd       K89pand             S13irqbalance      S28autofs      S99firstboot
K05wdaemon                   K50snmptrapd   K89rdisc            S13mcstrans        S44acpid       S99local
K10cups                      K50vsftpd      K99readahead_later  S13portmap         S55sshd        S99smartd
K10psacct                    K69rpcsvcgssd  S00microcode_ctl    S13setroubleshoot  S56xinetd
K15httpd                     K73ypbind      S02lvm2-monitor     S14nfslock         S58ntpd
K20nfs                       K74ipmi        S04readahead_early  S15mdmonitor       S80sendmail
K20rwhod                     K74nscd        S05kudzu            S18rpcidmapd       S85gpm
K24irda                      K80kdump       S06cpuspeed         S19rpcgssd         S90crond

[root@비개인오후 rc3.d]# mv K15httpd S15httpd
[root@비개인오후 rc3.d]# mv K36mysqld S36mysqld
[root@비개인오후 rc3.d]# mv K50vsftpd S50vsftpd
[root@비개인오후 rc3.d]# reboot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09. 12. 10. 11:41

똥꼬 움직이는 뱅기 X-35 이것저것모아두기2009. 12. 10. 11:41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JSF의 백미는 뭐라고해도 수직 이착륙기이다.
현존의 수직 이착륙기는 해리어가 단연코 선두이다. 하지만 1960년대 개발된 이항공기에도 개량에는 한계가있다.
JSF에서 미해군, 해병대, 영국 해군이 매우 관심을 두는 바로 수직이착륙기.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수평이륙 수직 착륙이다.
위 사진에서 수직 꼬리날개에 씌여진 STOVL이 바로 그 의미다.
Short Take Off Vertical Landing.
짧은 거리로 이륙하고 수직으로 착륙한다는 뜻. 수직이륙은 안된다는 것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위의 사진 모두가 수직 착륙을 하는 사진이다.
수직이륙과 수직 착륙은 어떤 차이가있는가?
수직 이륙을 위해서는 동체에 저장된 연료와 폭탄의 무게를 이기고 일어나야한다.
속도에 의한 날개의 양력없이 이 무게를 이길려면 엔진의 파워가 매우 높아야 하고, 연료소모도 무척이나 심하다.
아마 연료의 1/3은 사용해야 할것이다.
하지만 임무를 마치고 돌아오는 시점에서 연료는 거의 없고, 폭탄도 다 쏟아 버린 상태라면 그리고 무게를 이기고 오르는 것 보다는 서서히 내려온다는 것은 연료 소모를 그리 심하게 요구하지 않는다.


위 사진에서 JSF X-35항공기의 수직이륙을 담당하는 리프팅 팬이 새로운 기술이다.
해리어나 X-32에는 사용되지않는 새로운 아이디어였다.
좌석 바로 뒤쪽에 문이 열린것이 바로 리프팅 팬인데, 엔진에 의해 구동된다. 아래로 강력한 바람을 불어 내어 전방의 동체 무게를 들어올린다.
그 뒤쪽에있는 구멍은 ... 수직이착륙하는 동안 엔진에 들어오는 공기가 적으므로 따로 엔진 흡입구를 하나더 열어 공기를 모으기 위함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이 사진에서 우측의 수직으로 선 둥근것이 리프팅 팬이고 좌측의 엔진중 후방의 90도 꺽여진 노즐이 수직으로 항공기를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방금 수직 착륙한 X-32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수펴비행에서 수직비행으로 전환중, 후방엔진 노즐을 90도 꺽고, 리프팅 팬을 열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해군의 운용 개념. 수직 착륙 개념이다. 이륙은 일반 항공기 처럼 이륙을 한다.
하지만 리프팅 팬을 이용하여 좀더 짧은 이륙거리를 가진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09. 12. 8. 14:50

.htaccess 자동 작성해주는 사이트 아팥쥐2009. 12. 8. 14:50

http://www.htaccesseditor.com/kr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09. 12. 4. 15:00

지명별 성씨 이것저것모아두기2009. 12. 4. 15:00

 지명별 성씨
 

지명(地名)

행정구역(行政區域)

성씨(姓氏)

가리(加利)

경북 성주 속지

이(李)

가산(嘉山)

평북 박천 속지

이(李), 장(張), 한(韓)

가은(加恩)

경북 문경 속지

변(邊)

가주(嘉州)

평북 가산 별호

한(韓)

가평(加平)

경기

김(金), 간(簡), 이(李)

가흥(嘉興)

전남 진도 속지

조(曺)

간성(杆城)

경원 고성 속읍

최(崔)

감천(甘泉)

경북 안동 속지

김(金), 문(文), 전(全)

강동(江東)

 

김(金), 이(李)

강령(江翎)

경기 웅진 속지

강(康)

강릉(江陵)

강원

김(金), 문(文), 박(朴), 어, 왕, 유(劉), 최(崔), 함(咸)

강서(江西)

 

김(金), 조(趙)

강양(江陽)

강남 합천 구호

이(李)

강음(江陰)

황해 금천 속지

단(段), 송(宋)

강주(剛州)

경북 영주 별호

우(禹)

강진(康津)

전남

김(金), 박(朴), 안(安), 유(兪), 이(李), 조(趙), 정(鄭)

강화(江華)

경기

고(高), 김(金), 노(魯), 만(萬), 박(朴), 위(韋), 이(李), 종(鍾), 진(秦), 최(崔), 하(河), 황(黃)

개령(開寧)

경북 금릉 속면

김(金), 문(文), 심, 임, 홍

개성(開城)

경기

고(高), 김(金), 내(乃), 노(路), 마(馬), 만(萬), 반(班), 방(龐), 배(裵), 야(夜), 연(延), 염(廉), 옥(玉), 왕(王), 용(龍), 음(陰), 이(李), 전(全), 전(田), 천(千), 최(崔), 추(秋), 홍

거제(巨濟)

경남

반(潘)

거창(居昌)

경남

김(金), 류(柳), 사(史), 신(愼), 유(劉), 이(李), 장(章), 전(全), 창(昌), 표(表)

견주(見州)

경기 양주 속지

김(金)

결성(結成)

충남 홍성 속면

김(金), 이(李), 장(張)

경산(京山)

경북 성주 속지

김(金), 박(朴), 배(裵), 이(李)

경산(慶山)

경북

김(金)

경주(慶州)

경북

국(國), 권(權), 김(金), 나(羅), 노(盧), 노(魯), 문(文), 박(朴), 배(裵), 변(邊), 빙(氷), 석(石), 설(薛), 설(卨), 섭(葉), 소(邵), 손(孫), 심(沈), 유(兪), 윤(尹), 온(溫), 음(陰), 이(李), 임(林), 전(全), 정(鄭), 정(程), 주(周), 주(朱), 채(蔡), 최(崔), 풍(馮), 피(皮), 현(玄), 홍(洪)

경흥(慶興)

함북

어(魚)

계림(鷄林)

경북 경주 구호

김(金), 최(崔)

계양(桂陽)

경기 부평 구호

금(琴)

고령(高靈)

경북

김(金), 박(朴), 신(申), 신, 유(兪), 이(李)

고부(古阜)

전북 정읍 속지

김(金), 이(李), 최(崔)

고봉(高峰)

경기 고양 구호

고(高)

고성(高城)

 

박(朴)

고양(高陽)

 

김(金), 남(南), 이(李), 박(朴), 정(鄭), 도(道)

계림(鷄林)

경북 경주 구호

김(金)

고주(高州)

함남 고원 구호

음(陰), 장(張)

고죽(孤竹)

황해 해주 별호

최(崔)

고창(高敞)

전북

오(吳), 윤(尹)

고흥(高興)

전남

류(柳)

곡강(曲江)

 

최(崔)

곡부(曲阜)

중국 산동 속지

공(孔)

곡산(谷山)

황해

강(康), 노(盧), 연(延), 한(韓)

곡성(谷城)

전남

신(申), 연(延), 임(任), 정(丁),

곤양(昆陽)

경남 사천 속면

김(金), 배(裵), 정(鄭)

공산(公山)

충남 공주 별호

정(鄭)

공주(公州)

충남

김(金), 박(朴), 이(李)

공촌(公村)

경기 수원 별호

안(安)

과천(果川)

경기

임(任)

관성(管城)

충북 옥천 구호

육(陸), 황(黃)

광동(廣東)

중국 성명

진(陣)

광령(廣寧)

중국 양주

묵(墨)

광릉(廣陵)

전북 남원 속지

독고(獨孤), 석(石)

광산(光山)

광주 속구

김(金), 노(盧), 탁(卓)

광양(光陽)

전남

김(金), 이(李), 최(崔)

광주(光州)

광주

강(姜), 노(盧), 반(潘), 선(宣), 승(承), 이(李), 정(鄭), 채(蔡), 탁(卓)

광주(廣州)

경기(京畿)

김(金), 노(魯), 박(朴), 방, 석, 안(安), 용(龍), 이(李), 정(鄭), 최(崔)

광천(廣川)

중국(中國)

동(董), 모(毛)

광평(廣平)

경북 성주 별호

이(李)

괴산(槐山)

충북

김(金), 방(邦), 점(占), 종(宗), 최(崔), 피(皮)

괴주(槐州)

충북 괴산 구호

지(智)

교동(喬桐)

경기 강화 속면

뇌(雷), 인(印), 합(合)

교하(交河)

경기 파주 속면

김(金), 노(盧)

구례(求禮)

전남

김(金), 손(孫), 장(張)

구진(丘珍)

전남 장성 별호

박(朴)

구산(龜山)

경남 함안 속지

박(朴)

군위(軍威)

경북

나(羅), 박(朴), 방(方), 서(徐), 오(吳)

금구(金溝)

전북 김제 속면

온(溫), 이(李), 장(張)

금산(金山)

경북 금능 구호

김(金), 유(兪), 한(韓)

금산(錦山)

 

김(金)

금성(金城)

강원 김화 속면

 

금성(錦城)

전남 나주의 별호

나(羅), 범(范), 정(鄭)

금천(衿川)

경기 시흥 구호

강(姜), 장(莊)

금화(錦化)

 

김(金)

기계(杞溪)

경북 영일 속면

유(兪), 윤(尹), 이(李)

기성(岐城)

경남 거제 고호

 

기장(機張)

부산 동래 속지

이(李), 전(全)

길안(吉安)

경북 안동 속면

임(林)

김녕(金寧)

경남 김해 고호

김(金)

김제(金堤)

전북

김(金), 조(趙)

김천(金川)

 

김(金), 박(朴)

김포(金浦)

경기

공(公), 옹(翁), 이(李), 장(莊), 정(鄭)

김해(金海)

경남

김(金), 동(董), 배(裵), 송(宋), 장(張), 해(海), 허(許)

김화(金化)

강원도

고(高), 김(金)

 

나주(羅州)

전남

김(金), 나(羅), 내(奈), 임(林), 박(朴), 방(邦), 손(孫), 양(梁), 오(吳), 이(李), 장(張), 전(全), 정(鄭), 정(丁), 주(朱), 진(陳), 최(崔), 호(扈)

낙안(樂安)

전남 순천 속면

김(金), 오(吳), 이(李)

난포(蘭浦)

경남 남해

박(朴)

남양(南陽)

경기 화성 속면

갈(葛), 김(金), 방(房), 서(徐), 소(邵), 송(宋), 우(祐), 전(田), 제갈(諸葛), 홍(洪)-당홍, 홍(洪-토홍)

남원(南原)

전북

김(金), 남(南), 동(董), 독고(獨孤), 박(朴), 양(梁), 양(楊), 윤(尹), 진(晋), 태(太), 홍(洪)

남주(南州)

황해 남천 별호

박(朴)

남천(南川)

황해 평산 속읍

박(朴)

남평(南平)

전남 나주 속면

김(金), 문(文), 반(潘), 서(徐), 이(李), 조(曺), 홍(洪)

남포(藍浦)

충남 보령 속면

김(金), 백(白), 정(鄭)

남해(南海)

경남

김(金)

낭산(郎山)

전북 익산 속면

오(吳)

낭야(낭야)

중국(中國)

정(鄭)

낭주(郎州)

전남 영암 고호

최(崔)

노성(魯城)

충남 논산 속면

박(朴)

노안(老安)

전남 나주 속면

김(金)

능성(綾城)

전남 화순 속지

구(具), 문(文), 오(吳), 정(鄭), 조(曺), 주(朱)

능주(綾州)

전남 화순 속면

김(金)

니산(尼山)

충남 논산 속지

박(朴), 안(安), 이(李)

 

단성(丹城)

강원 김화 속지

독(獨), 문(文), 이(李)

단양(丹陽)

충북

여(呂), 우(禹), 유(兪), 이(李), 장(張), 피(皮), 홍(洪)

단주(湍州)

경기 장단 별호

 

단천(湍川)

 

한(韓)

담양(潭陽)

전남

국(鞠), 김(金), 이(李), 전(田)

달성(達城)

대구 속군

김(金), 배(裵), 서(徐), 하(夏)

당성(唐城)

경기 남양 구호

서(徐)

당악(唐岳)

평남 중화 고호

김(金)

당악(棠岳)

전남 해남 고호

김(金)

당은(唐恩)

경기 당성 구호

 

당인(唐寅)

 

후(后)

당진(唐津)

충남

박(朴)

대구(大丘)

대구(大邱) 구호

갈(葛), 김(金), 배(裵), 빈(彬), 서(徐), 하(夏), 호(好)

대동(大同)

 

류(柳), 배(裵)

대령(大寧)

황해 해주 별호

최(崔)

대산(大山)

경남 김해 속지

대(大)

대흥(大興)

충남 예산 속면

백, 이(李), 필(弼), 필(畢), 한(韓)

덕산(德山)

충남 예산 속면

김(金), 송(宋), 윤(尹), 이(李), 황(黃)

덕수(德水)

경기 풍덕 구호

김(金), 이(李), 장(張)

덕원(德源)

 

박(朴)

덕은(德恩)

충남 은진 구호

이(李)

덕진(德津)

전북 전주 속구

박(朴)

덕창(德昌)

평북 박천 별호

진(陳)

덕풍(德豊)

충남 예산 속지

윤(尹)

도강(道康)

전남 강진 속지

김(金), 이(李)

도안(道安)

충북 괴산 속면

이(李)

도천(道川)

경북 청도 구호

최(崔)

동래(東萊)

부산 속구

김(金), 정(鄭), 판(判)

동복(東福)

전남 화순 속면

강(姜), 선(宣), 오(吳), 화(和)

동성(東城)

경남

이(李)

동성(童城)

동성 김포 속지

노(盧), 부(附), 우(祐)

동주(東州)

강원 철원 구호

최(崔)

동주(洞州)

황해 서흥 구호

안(安)

동창(東昌)

중국(中國)

왕(王)

두릉(杜陵)

전북 만경 별호

두(杜)

두산(杜山)

전북 만경 별호

두(痘)

두원(荳原)

전남 고흥 속면

오(吳)

등주(登州)

함북 안변 구호

김(金), 종(鍾), 최(崔)

 

만경(萬頃)

전북 김제 속면

노(盧), 종(宗)

면천(沔川)

충남 당진 속면

박(朴), 복(卜), 한(韓), 황(黃)

명곡(椧谷)

경북 달성 속지

은(殷)

목천(木川)

충남 천원 속면

돈(頓), 마(馬), 상(尙), 상(尙), 우(于), 우(牛), 우(禹), 장(張)

무령(武靈)

전남 영광 구호

정(丁)

무송(茂松)

전북 고창 속면(무장 고호)

유(庾), 윤(尹)

무안(務安)

전남

박(朴), 방(邦), 유(兪)

무장(茂長)

전북 고창 속면

김(金)

무주(茂朱)

전북

김(金)

문경(聞慶)

경북

백(白), 송(宋), 전(錢)

문의(文義)

충남 청원 속면

박(朴)

문주(文州)

함남 문천 속면

박(朴)

문천(文川)

 

공(公)

문화(文化)

황해 신천 속면

김(金), 류(柳)

밀양(密陽)

경남

김(金), 노(魯), 당(唐), 대(大), 박(朴), 변(卞), 손(孫), 양(楊), 이(李), 이(異), 조(趙)

 

반남(潘南)

전남 나주 속면

박(朴)

반성(班城)

경남 진양 속면

옥(玉), 형(刑)

백천(白川)

황해 연백 속면

강(姜), 김(金), 류(柳), 유(劉), 이(伊), 조(趙), 호(扈)

백주(白州)

황해 배천 구호

유(劉)

벽진(碧珍)

경북 성주 속면

이(李)

보령(保寧)

충남

김(金), 문(文), 정(鄭)

보성(寶城)

전남

박(朴), 선(宣), 오(吳), 이(李), 전(全)

보성(保城)

전남 보성 별호

이(李)

보안(保安)

전북 부안 속면

임(林), 한(韓), 호(扈)

보은(報恩)

충북

김(金), 이(李)

보주(甫州)

경북 예천 별호

임(林)

복주(福州)

함남 단천 구호

진(陳)

복주(福州)

중국

 

복흥(福興)

전북 순창 속면

서(徐), 송(宋)

봉산(鳳山)

황해

곽(郭), 김(金), 박(朴), 이(李), 지(智)

봉성(鳳城)

전북 고산 속칭

온(溫), 장(張)

봉성(峯城)

경기 파주 고호

 

봉주(鳳州)

황해 봉산 구호

지(智)

봉화(奉化)

경북

금(琴), 김(金), 몽(蒙), 정(鄭)

부계(缶溪)

경북 군위 속면

예(芮), 홍(洪)

부령(扶寧)

전북 부안 구호

손(孫)

부령(富寧)

 

동(童)

부안(扶安)

전북

김(金), 이(李), 임(林), 장(張), 조(趙), 최(崔), 한(韓), 황(黃)

부여(扶餘)

충남

김(金), 서(徐), 이(李), 전(全)

부유(富有)

전남 순천 속지

심(沈)

부윤(富潤)

전북 김제 속지

조(趙)

부평(富平)

인천 북구 속지

김(金), 류(柳), 이(李)

부흥(復興)

황해 배천 구호

오(伍)

북청(北靑)

 

노(路)

분성(盆城)

 

김(金), 배(裵)

비안(比安)

경북 의성 속면

김(金), 나(羅), 박(朴), 손(孫), 원(袁)

비인(庇仁)

충남 서천 속면

임(林)

 

사천(泗川)

경남

김(金), 목(睦), 박(朴), 이(李)

삭녕(朔寧)

경기 연천 속면

신(申), 최(崔)

삼가(三架)

경남 합천 속면

삼(森), 오(吳)

삼계(森溪)

전남 영광 속지

주(周)

삼기(三岐)

경남 합천 별호

홍, 황(黃)

삼척(三陟)

강원

김(金), 박(朴), 심(沈), 이(李), 진(陳)

삼화(三和)

평남 용강 속지

박(朴)

상당(上黨)

충북 청주 고호

고(高)

상산(商山)

경북 상주 별호

김(金), 박(朴), 이(李)

상산(商山)

중국 협서 속지

 

상원(詳原)

평남 중화 속면

이(李), 최(崔)

상주(商州)

경북 상산 고호

박(朴)

상주(尙州)

경북

김(金), 노(盧), 박(朴), 방(方), 엄(嚴), 주(周), 최(崔), 황(黃)

상질(尙質)

전북 흥덕 구호

장(張)

쌍부(雙阜)

경기 수원 속지

송(宋)

서경(西京)

평남 평양 구호

정(鄭)

서림(西林)

충남 서천 구호

이(李)

서산(瑞山)

충남

김(金), 류(柳), 송(宋), 이(李), 정(鄭)

서산(西山)

백제도하

진(眞)

서원(西原)

충북 청주 구호

갈(葛)

서원(瑞原)

 

염(廉)

서천(舒川)

 

이(李)

서촉(西蜀)

중국

명(明)

서흥(瑞興)

황해

김(金)

선산(善山)

경북

곽(郭), 김(金), 류(柳), 문(文), 박(朴), 백(白), 임(林)

선성(宣城)

경북 예산 고호

 

선의(旋義)

제주 속지

종(鐘)

설성(雪城)

경기 음죽 고호

김(金), 동(董)

성산(星山)

경북 성주 속지

여(呂), 이(李), 전(全)

성주(星州)

경북

김(金), 도(都),배(裵) 여(呂), 시(施), 이(李), 전(全), 초(楚), 현(玄), 황(黃)

성천(成川)

 

김(金)

소주(蘇州)

중국 강소 속지

가(賈)

송화(松禾)

 

장(張)

수령(壽寧)

전남 장흥 속지

위(魏)

수성(隋城)

경기 수원 별호

이(李), 최(崔)

수성(壽城)

경북 대구 속지

나(羅), 빈(賓), 장(張), 조(曺)

수안(遂安)

황해

계(桂), 김(金), 이(李)

수안(守安)

경기 김포 고호

 

수원(水原)

경기

공(貢), 김(金), 동(董), 방(房), 백(白), 요(姚), 이(李), 최(崔)

수주(樹州)

경기 부평 구호

김(金), 이(李), 최(崔)

순창(淳昌)

전북

김(金), 궉(궉), 이(李), 임(林), 박(朴), 설(薛), 옹(邕), 조(趙)

순천(順天)

전남

김(金), 박(朴), 이(李), 장(張), 최(崔), 현(玄)

순흥(順興)

경북 영풍 속지

김(金), 박(朴), 안(安)

승평(昇平)

 

김(金)

신광(神光)

경북 경주 속지

진(陳)

신령(新寧)

경북 영천 속면

윤(尹)

신안(新安)

중국(中國)

주(朱)

신창(新昌)

충남 아산 속지

노(盧), 맹(孟), 방(方), 표(表)

신천(信川)

황해

강(康), 김(金), 이(李), 신(申)

신평(新平)

충남 홍성 구호

김(金), 송(宋), 이(李), 임(林), 한(韓), 호(扈)

신풍(新豊)

충남 공주 속면

최(崔)

 

아산(牙山)

충남

김(金), 신(申), 이(李), 장(蔣), 조(趙), 최(崔), 호(胡), 홍(洪)

아선(牙善)

평남 항종 별호

임(任)

아주(鵝州)

경남 거제 속지

신(申)

안강(安康)

경북 월성 속읍

김(金), 노(盧), 소(邵), 안(安)

안동(安東)

경북

강(姜), 고(高), 권(權), 구김(金), 신김(金), 노(盧), 동(董), 이(李), 임(林), 문(文), 박(朴), 장(張), 전(全), 조(曺), 최(崔)

안로(安老)

전남 영암 속지

김(金)

안변(安邊)

 

한(韓)

안산(安山)

경기 시흥 속지

김(金), 송(宋), 안(安), 이(李), 임(林)

안성(安城)

경기

김(金), 이(李), 박(朴)

안악(安岳)

황해

김(金), 양(楊), 이(李)

안음(安陰)

경남 안의 구호

서문(西門), 임(林), 하(河)

안의(安義)

경남 함양 속지

임(林), 주(周)

안정(安定)

경남 영품 속면

김(金), 나(羅)

안주(安州)

 

범(凡)

안협(安峽)

강원 이천 속지

손(孫)

압해(押海)

전남 무안 속면

강(江), 박(朴), 정(丁), 주(朱), 홍(洪)

야로(冶爐)

경남 합천 속면

송(宋)

야성(冶城)

경남 합천 별호

송(宋)

야성(野城)

경북 영덕 속지

김(金), 박(朴), 윤(尹), 정(鄭)

약목(若木)

경북 칠곡 속면

류(柳)

양근(楊根)

경기 양평 속면

김(金), 용(龍), 함(咸)

양산(梁山)

경남

김(金), 이(李), 진(陣)

양성(陽城)

경기 양평 속면

이(李)

양주(楊州)

경기

김(金), 노(魯), 소(召), 송(宋), 승(承), 윤(尹), 이(李), 조(趙), 진(陳), 최(崔), 한(韓)

양주(揚州)

중국(中國)

낭(浪)

양천(陽川)

서울 강서 속지

승(承), 윤(尹), 최(崔), 허(許)

양평(楊平)

경기

김(金)

언양(彦陽)

경남 울주 속지

김(金), 박(朴)

여미(余美)

충남 당진 속지

곽(郭)

여산(礪山)

전북 익산 속면

송(宋)

여수(麗水)

전남

박(朴)

여양(驪陽)

충남 홍성 속지

진(陣), 천(天)

여주(驪州)

경기

개(介), 견(堅), 김(金), 박(朴), 윤(尹), 이(李), 현(玄)

여흥(驪興)

경기 여주 별호

민(閔), 박(朴), 장(張), 조(趙)

연산(燕山)

충북 청원 속지

박(朴)

연산(連山)

충남 논산 속면

서(徐)

연안(延安)

황해 배천 속면

고(高), 김(金), 단(段), 류(柳), 유(劉), 이(李), 은(殷), 송(宋), 인(印), 이(李), 전(田), 차(車)

연일(延日)

경북 영일 속면

노(盧), 승(承), 오(吳), 정(鄭)

연주(延州)

평북 영변 구호

현(玄)

연주(燕州)

 

김(金)

연풍(延豊)

충북 괴산 속면

김(金), 이(李), 이(伊), 애(艾), 장(長), 최(崔)

염주(鹽州)

황해 연안 구호

서(徐), 홍(洪)

영가(永嘉)

경북 안동 별호

장(張)

영광(靈光)

전남

김(金), 노(盧), 류(柳), 빈(賓), 석(釋)전(田), 점(占), 정(丁)

영덕(盈德)

경북

김(金), 이(李), 정(鄭)

영동(永同)

충북

김(金), 장(張)

영산(永山)

 

김(金)

영산(靈山)

경남 창녕 속면

김(金), 문(文), 신(辛), 안(安)

영순(永順)

경북 문경 속면

태(太)

영암(靈巖)

전남

김(金), 박(朴)

영암(靈岩)

 

김(金), 박(朴), 조(曺), 종(鍾), 최(崔)

영양(英陽)

경북

김(金), 남(南)

영양(潁陽)

중국(中國)

동(董), 천(千)

영원(寧遠)

 

오(吳)

영월(寧越)

강원

김(金), 신(辛), 엄(嚴)

영정(永定)

경북 풍기 별호

정(鄭)

영주(瀛州)

전북 고부 고호

이(李)

영주(영州)

 

황(黃)

영주(榮州)

 

김(金), 동(董), 민(閔), 애(艾), 우(禹)

영천(寧川)

전북 남원 고호

이(李)

영천(永川)

경북

김(金), 동(董), 윤(尹), 이(李), 장(張), 정(鄭), 최(崔), 황보(皇甫)

영춘(永春)

충북 단양 속면

진(秦), 이(李)

영평(永平)

전남 나주 속면

마(麻)

영해(寧海)

경북 영덕 속면

김(金), 동(董), 박(朴), 신(申), 이(李)

영흥(永興)

 

김(金), 이(李), 방(邦), 조(趙), 최(崔)

예산(禮山)

충남

연(連), 장(張), 이(李)

예안(禮安)

경북 안동 속면

김(金), 우(禹), 이(李)

예천(醴泉)

경북

권(權), 방(邦), 윤(尹), 이(李), 임(林), 정(鄭), 흔(昕)

예천(醴川)

 

김(金), 임(林)

오천(烏川)

경북 영일 속면

김(金), 정(鄭)

오현

 

이(李)

옥구(沃溝)

전북 군산 속읍

고(高), 임(林), 송(宋), 장(張)

옥산(玉山)

경북 경산 속지

전(全), 장(張)

옥야(沃野)

전북 전주 속지

임(林)

옥주(玉州)

전남 영광 속지

조(曺)

옥천(玉川)

전북 순창의 별호

조(趙)

옥천(沃川)

충북

김(金), 육(陸), 전(全)

온양(溫陽)

충남 아산 속읍

방(方), 방(龐), 이(李), 정(鄭)

옹진(甕津)

 

이(李), 정(鄭)

완산(完山)

전북 전주 구호

김(金), 이(李), 전(全), 최(崔)

요동(遼東)

중국

묵(墨)

요산

 

이(李)

요양(遼陽)

중국 요령 속현

자(慈)

용강(龍岡)

평남

팽(彭)

용강(龍崗)

 

최(崔)

용궁(龍宮)

경북 예천 속면

곡(曲), 김(金), 서(徐), 이(李), 전(全), 최(崔)

용담(龍潭)

전북 진안 속면

고(高), 광(廣), 김(金)

용성(龍城)

경기 수원 구호

김(金), 노(盧), 송(宋), 차(車)

용안(龍安)

전북 이산 속면

김(金), 이(李)

용인(龍仁)

경기

강(康), 이(李), 진(秦), 편(片)

용주(龍州)

평북 용천 구호

최(崔)

용천(龍川)

평북

이(李), 장(張)

우견

 

이(李)

우계(羽溪)

강원 강릉 속지

이(李)

우방

 

이(李)

우봉(牛峰)

황해 금천 구호

김(金), 이(李), 박(朴), 최(崔)

우록(友鹿)

 

김(金)

우주(紆州)

전북 완주 속지

황(黃)

운남(雲南)

평남 덕천 속지

강(康)

운봉(雲峰)

전북 남원 속면

김(金), 박(朴)

울산(蔚山)

경남

김(金), 박(朴), 오(吳), 이(李)

울진(蔚珍)

경북

김(金), 임(林), 장(張)

웅천(熊川)

경남 창원 속면

김(金), 주(朱)

원산

 

이(李)

원주(原州)

강원

김(金), 동(董), 동(童), 이(李), 변(邊), 원(元), 최(崔)

원천(原川)

강원 원주 별호

이(李)

원평(原平)

경기 파주 별호

야(夜), 평(平)

월성(月城)

 

김(金), 박(朴), 석(昔), 최(崔)

유곡(楡谷)

경북 성주 속지

은(殷)

유주(儒州)

황해 문화 구호

김(金)

육창(陸昌)

전남 영광 속지

류(柳)

은율(殷栗)

 

김(金)

은산(殷山)

평남 순천 구호

박(朴)

은진(恩津)

충남 논산 속면

김(金), 임(林), 송(宋)

은풍(殷豊)

경북 풍기 구호

박(朴), 신(申), 오(吳)

음성(陰城)

충북

박(朴), 채(蔡)

음죽(陰竹)

경기 이천 속지

이(李)

의령(宜寧)

경남

고(高), 구(仇), 김(金), 남(南), 동(董), 서(徐), 심(沈), 여(余), 옥(玉), 이(李)

의성(義城)

경북

김(金), 송(宋), 오(吳), 이(李), 정(丁), 홍(洪)

의안(義安)

경남 창원 구호

정(鄭)

의주(義州)

 

김(金)

의창(義昌)

경북 흥해 구호

박(朴)

의흥(義興)

경북 군위 속면

김(金), 박(朴), 예(芮)

이안(利安)

경남 함양 속지

임(林)

이천(伊川)

강원 속지

김(金), 방(芳), 사마(司馬)

이천(利川)

경기

김(金), 서(徐), 선(宣), 신(申), 지(知), 채(蔡), 편(片)

익계

 

이(李)

익산(益山)

전북

이(李), 임(林)

익흥(益興)

강원 원주 속지

이(李)

인동(仁同)

경북 칠곡 속면

김(金), 류(柳), 유(兪), 유(兪), 장(張)

인산(仁山)

경북 경산 속면

조(曺)

인제(麟蹄)

강원

박(朴), 이(李)

인천(仁川)

인천

채(蔡), 이(李)

일직(一直)

경북 안동 속면

손(孫)

임강(臨江)

 

이(李)

임구(臨句)

중국 산동 속현

풍(馮)

임실(任實)

전북

강(康), 박(朴)

임진(任津)

경기 장당 속면

김(金)

임천(林川)

충남 부여 속면

양(梁), 이(李), 조(趙), 백(白), 최(崔)

임파(臨파)

전북 옥구 속면

이(李), 임(林), 진(陳)

임하(臨河)

경북 안동 속면

임(林)

 

자산(慈山)

평남 순천 속면

궁(宮)

장기(長기)

경북 영월 속지

오(吳), 이(李), 정(鄭)

장단(長湍)

 

풍(馮)

장사(長沙)

전북 고창 속지

유(兪)

장성(長城)

전남

김(金), 서(徐), 이(李), 전(全)

장수(長水)

전북

이(李), 황(黃)

장연(長淵)

황해

김(金), 노(盧), 문(文), 변(邊)

장천

 

이(李)

장흥(長興)

전남

고(高), 마(馬), 오(吳), 위(魏), 이(李), 임(林), 임(任), 정(鄭), 조(曺), 주(周)

재령(載寧)

 

강(康), 이(李)

적성(赤城)

전북 순창 속면

백(白)

적성(積城)

경기 연천 속면

김(金)

전원

 

이(李)

전은

 

이(李)

전의(全義)

충남 연기 속면

이(李)

전주(全州)

전북

김(金), 도(都), 동(董), 동(童), 류(柳), 마(馬), 박(朴), 변(邊), 선(宣), 심(沈), 애(艾), 연(連), 오(吳), 유(劉), 이(李), 장(張), 전(全), 정(鄭), 주(朱), 최(崔), 호(扈)

절강(浙江)

중국 성명

서(徐), 시(施), 장(張), 팽(彭), 편(片)

정산(定山)

충남 청양 속면

나(羅), 정(鄭)

정선(旌善)

강원

문(文), 박(朴), 이(李), 전(全)

정읍(井邑)

전북

김(金)

정주(貞州)

경기 풍덕 구호

김(金), 류(柳), 이(李), 박(朴), 정(鄭), 최(崔)

제남(濟南)

중국 산동 속지

왕(王)

제안(齊安)

황해 황주 구호

황(黃)

제천(堤川)

충북

안(安)

제주(濟州)

제주

고(高), 김(金), 대(大), 부(夫), 양(梁), 욱(郁), 좌(左), 진(秦), 초(肖), 피(皮)

조양(兆陽)

전남 보성 속지

임(林)

조종(朝宗)

경기 가평 속지

이(李), 신(申)

주천(酒泉)

강원 원주 속지

안(安), 윤(尹), 조(趙)

죽산(竹山)

경기 안성 속지

박(朴), 송(宋), 안(安), 윤(尹), 은(殷), 전(全)

죽주(竹州)

경기 죽산 별호

최(崔)

중화(中和)

평남

김(金), 양(楊), 이(李)

지례(知禮)

경북 금릉 속면

장(張)

지평(砥平)

경기 양평 속지

이(李)

직산(稷山)

충남 천원 속면

백(白), 조(趙), 최(崔)

진도(珍島)

전남

김(金), 조(曺)

진보(眞寶)

경북 청송 속면

이(李), 조(趙)

진산(鎭山)

충남 금산 속면

김(金), 최(崔)

진산(珍山)

 

김(金)

진산(晋山)

경남 진주 별호

강(姜)

진안(鎭安)

전북

배(裵), 이(李), 장(張)

진양(晋陽)

경남 진주 고호

하(河), 화(化)

진원(珍原)

전남 장성 속면

박(朴), 오(吳)

진위(振威)

경기 평택 속면

김(金), 이(李)

진잠(鎭岑)

충남 속지

김(金)

진주(晋州)

경남

강(姜), 강(彊), 김(金), 동, 류(柳), 모(牟), 박(朴), 사(謝), 소(蘇), 이(李), 임(任), 장(張), 정(鄭), 진(秦), 최(崔), 하(河), 형(邢)

진천(鎭川)

충북

김(金), 임(林), 송(宋), 장(張)

진해(鎭海)

경남

김(金), 이(李)

 

차성(車城)

경남 기장의 별호

이(李)

창녕(昌寧)

경남

성(成), 이(李), 장(張), 조(曺)

창원(昌原)

경남

감(甘), 공(公), 구(具), 김(金), 동(董), 박(朴), 유(兪), 이(李), 정(鄭), 정(丁), 현(玄), 황(黃)

창주(昌州)

평북 창성 구호

신(申)

창평(昌平)

전남 담양 속면

김(金), 승(昇), 이(李), 조(曺)

채운(彩雲)

충남 논산 속면

양(梁)

천녕(川寧)

경기 여수 속지

견(堅), 유(兪), 이(李), 장(張), 최(崔), 현(玄)

천안(天安)

충남

경(敬), 김(金), 박(朴), 신(申), 이(李), 전(全), 종(鐘), 화(花)

철성(鐵城)

 

이(李)

철원(鐵原)

강원

김(金), 문(文), 송(宋), 주(周)

청도(淸道)

경북

김(金), 노(盧), 백(白), 이(李), 조(曺)

청부(靑부)

경북 총송 구호

장(蔣)

청산(靑山)

충북 옥천 속면

김(金), 정(鄭)

청송(靑松)

경북

김(金), 박(朴), 심(沈), 이(李), 장(張), 최(崔)

청안(淸安)

충북 괴산 속면

이(李), 피(皮)

청양(靑陽)

충남

김(金), 이(李)

청주(淸州)

충북

경(慶), 곽(郭), 근(斤), 김(金), 동(董), 동(童), 사(史), 손(孫), 송(宋), 양(楊), 온(溫), 왕(王), 용(龍), 윤(尹), 이(李), 좌(左), 준(俊), 정(鄭), 초(楚), 최(崔), 한(韓)

청주(靑州)

중국 산동 속지

 

청평

 

이(李)

청풍(靑風)

충북 제천 속지

김(金)

청하(淸河)

경북 영일 속면

동(董)

청해(靑海)

함남 북청 구호

동(董), 이(李)

초계(草溪)

경남 합천 속면

김(金), 변(卞), 정(鄭), 주(周), 최(崔)

추계(秋溪)

경기 용인 속지

최(崔), 추(秋)

축산(竺山)

경기 용궁 구호

김(金)

춘양(春陽)

경북 봉화 속지

김(金)

춘천(春川)

강원

박(朴), 이(李), 최(崔)

충주(忠州)

충북

강(强), 김(金), 동(董), 동(童), 노(盧), 노(路), 매(梅), 박(朴), 석(石), 승(承), 안(安), 어(魚), 용(龍), 유(劉), 이(李), 이(李), 지(池), 최(崔), 평(平)

칠원(漆原)

경남 함안 속면

김(金), 윤(尹), 제(諸)

칠성

 

이(李)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탐진(耽津)

전남 강진 구호

안(安), 최(崔)

태산(泰山)

전북 태인 구호

박(朴), 전(全)

태안(泰安)

충남 서산 속읍

가(賈), 박(朴), 송(宋), 이(李)

태원(太原)

충북 충주 별호

 

태원(太原)

중국(中國) 산서 속지

김(金), 노(路), 방(龐), 선우(鮮于), 안(安), 이(李), 장(張), 조(趙)

태인(泰仁)

전북 정주 구호

경(景), 박(朴), 백(白), 송(宋), 시(柴), 은(殷), 종(宗), 최(崔), 허(許)

토산(兎山)

황해 금천 속지

고(高), 궁(弓), 김(金), 몽(蒙), 전(錢)

통주(通州)

강원 통천 별호

김(金), 양(楊)

통진(通津)

경기 김포 속지

이(李), 전(全), 종(宗)

통천(通川)

경원

김(金), 최(崔), 태(太)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파릉(巴陵)

중국 호남 속지

초(楚), 호(胡)

파주(坡州)

경기

김(金), 방(邦), 염(廉)

파평(坡平)

경기 파주 속지

김(金), 윤(尹)

팔거(八거)

경북 칠곡 구호

전(全)

팔계(八谿)

경남 초계 구호

정(鄭)

평강(平康)

 

전(全), 채(蔡)

평당(平當)

경기 파주 별호

서(徐)

평산(平山)

 

박(朴), 소(邵), 신(申), 유(庾), 윤(尹), 이(李), 조(趙), 차(車), 한(韓)

평양(平壤)

 

김(金), 노(盧), 박(朴), 이(李), 조(趙)

평주(平州)

황래 평산 고호

박(朴)

평창(平昌)

강원

김(金), 이(李)

평택(平澤)

경기

김(金), 박(朴), 임(林), 전(田)

평해(平海)

강원 울진 속면

구(丘), 김(金), 손(孫), 오(吳), 정(鄭), 황(黃)

풍기(豊基)

강원 영풍 속면

김(金), 방(邦), 주(周), 진(秦)

풍덕(豊德)

경기 개풍 구호

종(鍾), 포(包), 황(黃)

풍산(豊山)

경북 안동 속면

김(金), 류(柳), 심(沈), 홍(洪)

풍양(豊壤)

경기 남양 주속

도(陶), 조(趙)

풍천(豊川)

황해 송화 속지

김(金), 노(盧), 임(任), 최(崔), 홍(洪)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하남(河南)

중국 낙양 별호

정(程)

하동(河東)

경남

동(董), 정(鄭), 조(趙)

하빈(河濱)

경북 달성 속면

이(李)

하양(河陽)

경북 경산 속면

문(文), 허(許), 최(崔)

하음(河陰)

경기 강화 속지

김(金), 이(李), 봉(奉), 종(鍾), 최(崔)

학성(鶴城)

경남 울산 별호

이(李), 정(鄭)

한남(漢南)

경기 수원 별호

김(金), 최(崔)

한산(韓山)

충남 서천 속면

김(金), 단(端), 사(謝), 이(李), 정(程), 조(趙), 한(韓)

한양(漢陽)

서울 구호

애(艾), 조(趙), 한(韓)

함녕(咸寧)

경북 함창 별호

 

함안(咸安)

경남

김(金), 윤(尹), 이(李), 조(趙), 주(周)

함양(咸陽)

경남

김(金), 박(朴), 여(呂), 오(吳), 이(李)

함열(咸悅)

전북 익산 속면

남궁(南宮)

함종(咸從)

평남 강서 속면

어(魚)

함창(咸昌)

경북 상주 속면

김(金), 전(全), 허(許), 홍(洪)

함평(咸平)

전남

김(金), 노(魯), 모(牟), 오(吳), 이(李), 정(鄭)

함풍(咸豊)

전남 함평 구호

임(任), 정(鄭)

함흥(咸興)

 

김(金), 배(裵), 오(吳)

합천(陜川)

경남

김(金), 마(麻), 이(李)

합포(合浦)

경남 창원 속지

감(甘)

항주(杭州)

중국 절강 속지

황(黃)

해남(海南)

전남

김(金), 윤(尹), 이(李), 정(鄭)

해미(海美)

충남 서산 속면

강(姜), 곽(郭), 백(白)

해안(解顔)

경북 달성 속지

백(白)

해주(海州)

황해

경(景), 김(金), 노(盧), 박(朴), 방(邦), 석(石), 오(吳), 왕(王), 윤(尹), 정(鄭), 최(崔)

해평(海平)

경북 선산군 속면

길(吉), 김(金), 윤(尹)

해풍(海豊)

경기 개풍 구호

김(金)

행주(幸州)

경기 고양 속지

기(奇), 김(金), 은(殷), 형(刑)

현풍(玄豊)

경북 달성 속면

김(金), 곽(郭), 윤(尹)

협계(峽溪)

황해 달성 속면

배(裵), 태(太)

혜성(혜城)

충남 면천 구호

박(朴)

홍산(鴻山)

충남 부여 속면

순(荀), 용(龍), 한(韓)

홍양(洪陽)

충남 홍주 별호

조(趙)

홍주(洪州)

충남 홍성 구호

김(金), 용(龍), 송(宋), 이(李), 홍(洪)

홍천(洪川)

강원

용(龍), 피(皮)

화개(花開)

경남 하동 속면

김(金)

화산(花山)

황해 금천 별칭

이(李)

화순(和順)

전남

김(金), 배(裵), 오(吳), 최(崔)

화원(花園)

경북 대구 속지

석(石)

황간(黃澗)

충북 영동 속면

견(甄), 전(全)

황려(黃驪)

경기 여주 구호

민(閔)

황리(黃利)

경기 여주 별호

김(金)

황산(黃山)

충남 연산 구호

서(徐)

황원(黃原)

전남 해남 속지

종(宗)

황주(黃州)

황해

김(金), 동(董), 변(邊), 황(黃), 최(崔), 황보(皇甫)

회덕(懷德)

충남 대덕 속면

이(李), 임(任), 황(黃)

회령(會寧)

전남 보성 속지

고(高)

회산(檜山)

경남 창원 구호

감(甘), 황(黃)

회성(檜城)

 

임(林)

회양(淮陽)

 

이(李), 후(后)

회인(懷仁)

충북 보은 속지

홍(洪)

회진(會津)

전남 나주 속지

임(任)

횡성(橫城)

강원

고(高), 조(趙)

효령(孝靈)

경북 군위 속면

사공(司空)

휘주(徽州)

중국 안휘 속지

요(姚)

흥덕(興德)

전북 고창 속면

김(金), 장(張), 진(陳)

흥성(興城)

 

장(張)

흥양(興陽)

전남 고흥 구호

류(柳), 오(吳), 이(李), 장(張), 조(趙)

흥해(興海)

경북 영일 속면

김(金), 배(裵), 장(張), 최(崔)

희천(熙川)

평북

김(金)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09. 11. 25. 18:59

실용 일본어 분류귀찮아~2009. 11. 25. 18:59

이런글을 왜 퍼뒀는지 궁금해지려 한다...ㅋㅋ

1. 기초편
- 야메떼
이거 매우 중요한 말이다. 그 뜻은 "안돼~" 되겠다.
일본의 영상물을 시청하다보면 가끔씩
뇨자들이 야메, 야메떼~~ 한다.
눈을 감고 번역모드로 안돼, 안돼에~~~ 하고 읖조려보라
필이 팍 오지 않는가..?
좀더 감정을 집어넣기 위해서 약간 콧소리를 내면서 애틋한 목소리로
야메떼~에~ 이러면 딱 좋다.
(필자는 이 흉내를 잘내서 선배들에게 이쁨을 받았다.)
이와 비슷한 말로 주로 남자들이 많이 쓰이는 야메로! 가 있다.
뜻은 안돼! 돼겠다.
 
- 이야
뜻은 "싫어~" 되겠다. 야메떼~와 더불어 콤보 모드로
야메떼~~ 이야~ (안돼에~ 싫어~) 이렇게 자주 쓰이곤 한다.
 

- 모또
뜻은 좀더 영어로 하면 "more" 되겠다. 어디 쓰이는 지는 다들 잘 알것이다.
 
- 기모찌~
"기분좋아~" 혹은 "좋아~" 되겠다. 물어볼때는 기모찌? 이렇게 하면된다.
즉 기모찌? 기모찌?(좋아? 좋아?) 하면 기모찌~이~(넘 조아~) 하는게 정석이다.
 

- 오니짱 이따이요~~
이거 정말 많이 쓰인다. 아마 국내에서도 많이쓰이는 단어 일것이다.
뜻은 "오빠 아퍼~~" 이다.
위와 같은 제목으로도 국내에서 비됴출시가 된것을 보면
역시 세계화가 되어가고 있다는 증거이다.
그리고 이따이이따이병이라고 들어봤을 것이다.
번역하면 아파아파병 이다. 열라 아프기 때문에 병이름도
이따이이따이 병인것이다.
 
- 다이죠브
오니짱 이따이요에 대한 대답이다.
뭐겠는가. 그렇다 "괜찮아~" 이다.
상대방을 안심시키기 위해
다이죠브 다이죠브 이렇게 2번 반복하여 쓴다.
 
- 까(카)와이 (까와 카의 중간발음)
이말을 쓸때는 표정이 참중요하다.
정말 감탄한 얼굴로 상대방을 보면서 까(카)와이~ 이렇게 얘기한다.
그럼 일본 뇨자들 어쩔줄모르고 좋아한다.
뜻은 당연 "귀여워~" 이다.
일본 뇨자들에게는 최고의 칭찬이다.
자주 남발하라.
 
- 이끄
원래는 이끄(크)와이요 의 준말로 원뜻은 "자 시작하자~" 는 뜻으로
무슨 일을 하기전에 의기투합을 하는 말이다.
그러나 영상물에서는 절정에 이를시 나 갈것같에 혹은 나 쌀것같에
등으로 막바지에 쓰는 말이다. 영상물을 많이 접해보신 분들은
마지막에 이끄! 이끄! 이끄! 하면서 대단원의 막을 내리는
일본의 영상물들을 많이 보셨을 것이다.
 
- 이따다끼 마쓰
뜻은 "잘먹겠습니다~" 이다. 이런말을 쓰는 넘들도 있어서 걍 올렸다.
 
- 오이시
뜻은 "맛있어~" 되겠다. 이런말도 쓰는 넘들이 있어서 마찬가지로 올렸다.
 
- 시(씨)네
뜻은 "죽어!!" 되겠다. 경쟁자를 물리칠때나 야쿠자들이 많이 쓴다.
최대한 험악한 표정으로 시(씨)네 하면 효과가 더욱크다.
그외 스고이 스게~~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09. 11. 25. 18:55

robots.txt 의 오류정리 리눅스서버2009. 11. 25. 18:55

어디서 퍼뒀는지 모름 -_-;;
 
혹시 robots.txt가 무엇인지 모르시는 분은 다음 링크를 참고 바랍니다.

http://korea.internet.com/channel/content.asp?kid=17&cid=175&nid=1544
http://www.eznetsol.com/site/bbs_view.php?code=data&idx=9&page=1

 여하튼 이 robots.txt는 비록 강제 규격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웹 로봇은 이 표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크롤링을 해보면 잘못된 형식의 robots.txt 가 너무 많더군요. 여기 몇 가지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이 예들은 실제 사이트들에서 수집한 내용입니다.)

예1)

// All Web Search Engine 에 대한 페이지 자동추출 방지
User-agent: *
 
// 거부 디렉토리
Disallow: /

 빨간색 부분이 잘못되었습니다. 아마도 주석 처리를 한 것일텐데 robots.txt 규격에서 한줄 주석은 // 가 아니라 # 입니다.

예2)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_ver2006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bbs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board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board2003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default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doc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enter2002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food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food2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gong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gong2002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gong2003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guest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images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login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menu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money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poll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prog2003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qm2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room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security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temp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update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upload_del
User-Agent : Googlebot, Disallow : /

 구글봇에 무슨 원수가 졌는지 주저리 주저리 많이도 막아놨습니다만 안타깝게도 저 경로들은 모두 크롤링 대상이 됩니다. 왜냐하면 robots.txt 표준에는 한 줄에 여러 개의 레코드를 기술할 수 있도록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좀 더 엄중히 따지자면 User-Agent 나 Disallow 같은 필드명과 콜론(:) 사이에는 공백이 없어야 합니다.
 어쨌든 관용을 가지고 해석을 한다 하더라도 저 문서는 'Googlebot, Disallow : '로 시작하는 30개의 웹 크롤러를 정의해놓은 것이 됩니다. 그러므로 원래 의도대로라면 아래와 같이 해야 합니다.

User-Agent: Googlebot
Disallow: /_ver2006
Disallow: /bbs
...

예3)

User-agent : *
Disallow : *

아마도 위 문서를 정의한 사이트 관리자의 의도는 모든 크롤러에 대해서 모든 문서 수집을 막겠다는 것이였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저 문서는 이전 예와 마찬가지로 필드명과 콜론 사이에 공백이 있는 점이 잘못되었으며, User-agent 필드에서는 * 가 모든 웹 로봇을 의미하지만 Disallow 나 Allow 필드에 *(와일드카드) 표시를 하는 것은 모든 경로를 의미하지 않기 때문에 의도와 다르게 동작합니다. 즉, 저 문서가 의미하는 것은 모든 웹 로봇에 대해서 *로 시작하는 경로나 파일에 대한 접근을 막겠다는 뜻입니다. 원래 의도대로라면 아래와 같이 했어야 합니다.

User-agent: *
Disallow: /

예4)

User-agent: ia_archiver
User-agent: Mozilla/4.0 (compatible; Empas/0.9)
User-agent: Googlebot
Allow: /
Allow: /node/
Disallow: /taxomony/
Disallow: /tagadelic/
Disallow: /tracker/
Disallow: /ktracker/

 위 문서는 유명한 리눅스 커뮤니티의 robots.txt 내용 중 일부입니다. 역시 명성에 걸맞게 대부분의 사이트와는 달리 robots.txt 가 굉장히 꼼꼼하게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위 내용은 비록 문법적으로는 하자가 없습니다만 의미적으로는 오류가 있습니다. 아마도 사이트 관리자의 의도는 ia_archiver, empas/0.9, googlebot 에 대해서 /taxomony/, /tagadelic/, /tracker/, /ktracker/ 로 시작하는 경로에 대해서는 문서 수집을 막고 그 외의 경로는 수집을 허용하려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제 표준대로라면 위 문서는 모든 경로에 대한 문서 수집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robots.txt 표준에는 웹 로봇이 robots.txt 의 내용을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확인하면서 가장 처음에 일치되는 패턴을 따르도록 정의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저 문서의 가장 처음에 있는 수집 룰은 Allow: / 이며 이것은 모든 문서에 대해 수집을 허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마도 웹 로봇은 처음 일치되는 룰에 의해 모든 문서를 수집할 것입니다. 따라서 수집룰을 입력할때는 하위경로에서부터 상위 경로 순서로 입력해야 합니다. 위 문서를 올바르게 수정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User-agent: ia_archiver
User-agent: Mozilla/4.0 (compatible; Empas/0.9)
User-agent: Googlebot
Disallow: /taxomony/
Disallow: /tagadelic/
Disallow: /tracker/
Disallow: /ktracker/
Allow: /node/     # 사실 이건 아~무 의미 없음...
Allow: /

비슷하게 아래 문서도 잘못되었습니다.

예5)

User-agent: *
Disallow: /

User-Agent:MSIECrawler
Disallow: /

User-Agent 필드 역시 먼저 매칭되는 것에 따르기 때문에 User-agent: * 에 해당하는 룰은 가장 아래쪽에 위치해야 합니다.

 잘된 robots.txt 의 예를 하나 든다면 http://slashdot.org/robots.txt 가 있습니다. 웹 로봇 별로 꼼꼼하게 잘 정리해서 정의해 놨더군요...

 robots.txt 가 강제 규격이 아니기 때문이겠지만 그래도 robots.txt 를 수집하다보면 잘못 정의된 사례가 굉장히 많습니다. robots.txt 를 크롤하면 메인 페이지가 크롤되는 경우도 상당히 많구요.(아마 없는 문서 요청 시 리다이렉트 처리가 되기 때문이라 생각됩니다만...) 어쨌든 어차피 피해입는 사람은 사이트 관리자 본인이므로 조금만 신경을 써서 관리한다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사실 제가 이것 저것 예외 처리하기 힘들어요...ㅜㅡ)

 참고로 robots.txt 표준은 http://www.robotstxt.org/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 : Tong - 엔케이님의 ASP통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09. 11. 25. 18:54

참고서적 DB자라/오락흘2009. 11. 25. 18:54

Expert one-on-oneOracle 정보문화사
Beginnig Oracle Programming
기초에서 실무개발자로 오라클 프로젝트실무
:
Posted by 비개인오후
2009. 11. 25. 18:53

대용량파일 다운로드 PHP2009. 11. 25. 18:53

윈도우+PHP4 환경에서 테스트한 내용입니다.

보통 다운로드를 사용할때
$fp = fopen($filename, "rb");
if (!fpassthru($fp)) {
fclose($fp);
}
이런식으로 다운로드를 합니다.
하지만 용량이 100M정도를 저렇게하면 웹서버가 CPU100%를 차지하면서 다운로드를 멈쳐도 서버가 살아나지 않더군요.
PHP의 memory_limit를 200M정도로 늘려도 현상은 같았습니다.

코드를 아래와 같이 바꾸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fp = fopen($filename, "rb");
while(!feof($fp)) {
echo fread($fp, 100*1024);
flush();
}
fclose ($fp);

처음 서버에서 파일을 읽을때 CPU가 100%를 차지하지만 다운로드가 시작되면 CPU점유율이
다시 내려갑니다.

아마 파일을 한번에 메모리에 읽는경우와 조금씩읽는방법의 차이인듯하네요.

제일 좋은건 그냥 URL주소로 다운받는건데( header("location:$filename") )
한글주소일경우 브라우져에 따른 문제와 다운로드 파일명등의 문제가 있네요.

더 좋은 방법있으면 소개해주세요~
:
Posted by 비개인오후